반응형

 

주민세 납부방법

안녕하세요 
매년 8월이면 ‘주민세’라는 이름으로 고지서가 도착하곤 하죠.
특히 나이 든 어르신들께서는 ‘이건 또 뭔데?’ 하며 헷갈리실 수 있어요.
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.
오늘은 주민세가 뭔지, 어떻게 내는지 아주 천천히, 쉽게 알려드릴게요.
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익숙하지 않으셔도 누구나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.

🧾 주민세란 무엇인가요?

우선 주민세는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행정 서비스를 위한 세금이에요.
쉽게 말해, 우리가 쓰는 도로, 쓰레기 수거, 치안, 복지 서비스 등 지역 사회 운영을 위한 비용을 걷는 것이죠.
이 세금은 8월 한 달 동안 납부하게 되며, 만 18세 이상인 개인에게 부과됩니다.

주민세는 보통 세 가지로 나뉘어요.

  1. 개인분 주민세 – 일반 주민에게 부과되는 세금
  2. 사업소분 주민세 – 사업장을 운영하는 분에게 부과
  3. 종업원분 주민세 – 종업원을 고용한 사업주에게 부과

오늘 설명드릴 내용은 대부분의 분들이 해당되는 개인분 주민세 납부방법이에요!

📬 고지서는 언제, 어떻게 오나요?

보통 8월 초에 우편으로 종이 고지서가 집으로 도착해요.
이 고지서를 잘 보관해두셨다가 납부기한(8월 31일까지) 안에 꼭 납부하셔야 해요.
혹시 고지서를 분실하셨거나 이사로 인해 못 받으셨다면 가까운 구청 세무과에 전화해서 재발급 받으실 수 있어요.

💳 주민세 납부방법 (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!)

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시는 3가지 납부방법만 알려드릴게요.
각 방법은 천천히 따라하시면 어렵지 않아요 😊

1. 은행 창구에서 납부하기 (가장 쉬운 방법)

  • 고지서를 가지고 가까운 은행이나 농협에 방문하세요.
  • 창구 직원에게 고지서를 보여주며 “주민세 내러 왔어요”라고 말씀드리면 됩니다.
  • 현금이나 카드로 납부 가능해요.
  • 납부 후에는 꼭 영수증을 받아 보관해두세요.

은행 창구에서 납부하기

👉 이 방법은 컴퓨터나 핸드폰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께 가장 추천드려요!

2. ARS 전화 납부 (전화 한 통으로 끝!)

  • 📞 1544-1414로 전화합니다.
  • 안내에 따라 '주민세 납부'를 선택하고,
  • 주민등록번호납부할 세금 정보를 입력한 뒤,
  • 신용카드 번호를 눌러 납부하시면 끝!

ARS 전화 납부 (전화 한 통으로 끝!)

👉 이 방법은 고지서가 없어도 가능하며, 전화 안내가 친절하게 도와줘요.

3. 인터넷 납부 (위택스 또는 지로사이트 이용)

이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이 익숙하신 어르신이나 자녀에게 부탁해도 좋습니다 😊

  • 인터넷 검색창에 ‘위택스’(www.wetax.go.kr) 혹은 ‘지로’(www.giro.or.kr) 를 검색하세요.
  • 사이트 접속 후, 납부번호(고지서에 있음) 를 입력해 납부하시면 돼요.
  • 카드 또는 계좌이체로 가능하며, 납부 확인증도 출력할 수 있어요.

인터넷 납부 (위택스 또는 지로사이트 이용)

💡 요즘은 스마트폰으로도 납부가 가능한데, '카카오페이', '토스', '네이버페이' 앱에서도 납부할 수 있어요.
앱을 켜고 ‘청구서’ 메뉴에서 주민세가 뜨는지 확인해 보세요.

 

카카오페이 바로가기 토스 바로가기

 

⏰ 납부 마감일은 꼭 기억하세요!

납부 마감일은 8월 31일!
이 날까지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(벌금)가 추가돼요.
하루만 지나도 10%의 추가 금액이 붙을 수 있으니,
고지서를 받으시면 되도록 빨리 납부해 두시는 것이 좋아요 😊

📝  마무리 

지금까지 주민세 납부방법에 대해 아주 쉽게, 천천히 설명드렸어요.
처음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
은행 창구나 ARS, 또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시면 금방 끝나는 일이랍니다.
이 글이 어르신들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
반응형